2015.03.23 21:05

<시>차심 / 손택수

조회 수 1180 추천 수 0 댓글 2
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차심 / 손택수

 

 

 

 

차심이라는 말이 있지

찻잔을 닦지 않아 물이끼가 끼었나 했더니

차심으로 찻잔을 길들이는 거라 했지

가마 속에서 흙과 유약이 다툴 때 그릇에 잔금이 생겨요

뜨거운 찻물이 금 속을 파고들어가

그릇색이 점점 바뀌는 겁니다

차심 박힌 그릇의 금은 병균도 막아주고

그릇을 더 단단하게 조여준다고......

불가마 속의 고통을 다스리는 차심,

그게 차의 마음이라는 말처럼 들렸지

수백 년 동안 대를 이은 잔에선

차심만 우려도 차맛이 난다는데

갈라진 너와 나 사이에도 그런 빛깔을 우릴 수 있다면

아픈 금 속으로 찻물을 내리면서

금마저 몸의 일부인 양

 

 

시작 메모 / 존재는 균열을 통해서 드러난다. 하나가 되고 싶으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하나가 될 수 없는 현존의 고통을 드러내면서 그것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넘어서고자 하는 그리움이 은유의 정신역학이다.

 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『문학사상』(2014년 9월호) -

 

 


?
  • profile
    Tobia 2015.04.20 23:30
    쉽지 않은 '동심' 마음과 몸이 함께하려면 피나는 노력과 인내가 필요함을 다시 깨갇고 갑니다...감사
  • ?
    화인 2015.05.19 10:37
    수백 년 동안 대를 이은 잔에서 차심만 우려도 차맛이 난다는데~...!
    오랜 세월 ?묵은 심원은 그 표양만 봐도 진실한 늬앙스의 향이 난다는데 ~...!

X
Login

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.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. 단, 게임방,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.

X